동아리 활동 정리
네트워크와 IP 본문
네트워크란
여러 기기들이 통신기술을 이용하여 그물망처럼 이루어져있는 형태를 말합니다. 또 다른 말로, 두 대 이상의 기기들을 연결하고 통신할 수 있는 것이라 한답니다.
네트워크 구성원
서버:정보를 제공하는호스트
클라이언트:정보를 받는호스트
중계장비:특정 메세지의 전달경로를 지정하는 장비
전송 매체: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메세지가 지나가는 통로
네트워크 분류
네트워크 분류기준은 규모에 따라 결정됩니다.
PAN: 개인영역 네트워크
LAN: 근거리 네트워크
WAN: 광역 네트워크
프로토콜이란
구문(Syntax): 데이터 형식, 부호화, 신호 크기 등을 포함
의미(Semantics): 비트에 각 부분의 뜻
타이밍(Timing): 통신 속도 조정, 메세지 전송 시간 순서 조성
OSI 7계층이란
네트워크 시스템의 설계를 위한 계층 구조로 7계층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.
7. 응용 계층: 일반적인 응용 서비스를 수행하는 계층 |
6. 표현 계층: 통일된 구문 형식으로 변환하는 계층 |
5. 세션 계층: 응용 프로세스 통신 관리 방법 제공 |
4. 전송 계층: 신뢰성있는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해줌 |
3. 네트워크 계층: 경로를 찾아주는 역할을 하는 계층(IP) |
2. 데이터 링크 계층: 하드웨어(MAC) 주소로 통신하는 계층 |
1. 물리 계층: 시스템 간의 연결선 |
네트워크 장비들
스위치(Switch):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동작하는 장비입니다.
목적지 MAC 주소를 구분한 수 해당 포트에만 신호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답니다.
라우터(Router): 네트워크 계층에서 동작하는 장비입니다.
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상호 연결하는 네트워크장비(IP)를 사용합니다.
유선 전송 매체
UTP: 기본 케이블,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전송 매체입니다.
다이렉트 케이블: 서로 다른 장비를 연결할 때 사용합니다.
크로스오버: 서로 같은 장비를 연결할 때 사용합니다.
토폴로지란
연결된 장비들의 배치 형태를 토폴리지라고 합니다.
IP주소란
장치들이 가지고 있는 숫자로 이루어진 고유의 주소입니다.
IPv4는 32bit로 정의합니다. 그래서 이론상으로 사용 가능한 주소 수는 2^32개인 약 43억개까지라고 합니다.
인터넷 사용 급증으로 128bit 주소 체계를 가진 IPv6또한 있습니다.
그러나 우리는 IPv4를 기준으로 글을 이어나갈 것입니다.
DNN 표기법
2진수인 IP를 10진수로 표기하는 방법을 말합니다.
DNN: (Dotted Decimal Notaion)의 약자입니다.
옥텟(Octet): 8비트를 하나로 묶은 단위입니다.
예)11000000.10101000.00000000.000000001 녹색만큼의 묶음이 옥텟의 한 단위
IP주소의 구조
네트워크 ID: IP의 상위 비트이며, 네트워크를 구분하는 역활입니다.
호스트 ID: IP의 하위 비트이며, 기기를 구분하는 역할입니다.
[네트워크 ID : 호스트 ID = n bit : 32-n bit]
특별한 IP주소
네트워크 주소: 호스트 ID부분이 모두 0인 주소이며, 네트워크 대표입니다.
브로드캐스트 주소: 호스트 ID부분이 1인 주소이며, 모든 장비들을 전송해주는 역할을 합니다.
디폴드 라우트: 경로가 없는 패킷들이 가는 주소입니다. 0.0.0.0
루프백 주소: 자기 자신에게 패킷을 보낼 때 사용하는 주소입니다. 127.0.0.1
클래스풀 체계
첫번째 옥텟의 값에 따라 5개의 고정된 구졸로 구분하는 체계를 말합니다.
클래스 | 옥텟 범위 | *서브넷 마스크 | 네트워크 개수 | 호스트 개수 |
A | (1XXXXXXX) 1~126 |
255.0.0.0 | 2^7-2 | 2^24-2 |
B | (10XXXXXX) 128~191 |
255.255.0.0 | 2^14 | 2^16-2 |
C | (110XXXXX) 192~223 |
255.255.255.0 | 2^21 | 2^8-2 |
D | (1110XXXX) 224~239 |
멀티캐스트 | - | - |
E | (11110XXX) 240~255 |
실험/연구 | - | - |
*서브넷 마스크는 네트워크ID와 호스트ID를 구분하는 역할입니다. 네트워크ID부분은 1, 호스트ID부분은 0으로 표현합니다.
클래스리스 체계
서브넷 마스크 정보를 이용하여 식별하는 주소 체계를 말한답니다.
프리픽스 표기법(Prefix Notation):
서브넷 마스크의 네트워크 ID의 길이를 '/'와 함께 표기하는 방법입니다.
예)192.168.0.4/24
'동아리 > TeamLo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캡슐화 & 역캡슐화 (0) | 2021.06.01 |
---|---|
VLAN(Native VLAN) & VTP (0) | 2021.05.30 |
스위치와 라우터 (0) | 2021.04.26 |
VLSM & 슈퍼넷팅 (0) | 2021.04.19 |
서브넷팅 (0) | 2021.04.1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