동아리 활동 정리
Server 본문
HTTP
- 웹 서버, 웹 페이지를 표시해주는 서버입니다.
- 인터넷에서, 웹 서버와 사용자의 인터넷 브라우저 사이에 문서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신 규약입니다.
- 분산 하이퍼미디어 환경에서 빠르고 간편하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토콜입니다.
- 인터넷 주소를 지정할 때 'http://www....'와 같이 하는 것은 www로 시작합니다.
DNS
- 도메인을 IP 주소롤 바꿔주는 서버입니다.
ex) naver.com > 125.209.222.141 - 각 컴퓨터의 이름은 마침표에 의해 구분되고 알파벳과 숫자로 구성된 세그먼트의 문자열로 구성되어있습니다.
ex) 기업체 : com, 교육기관 : edu, 정부기관 : go, gov, 한국 : kr
AAA
- 계정 인증과 권한 부여 기능을 담당하는 서버입니다.
- Radius와 TACACS 프로토콜을 사용합니다.
DHCP
- TCP/IP 통신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자동적으로 할당하는 프로토콜입니다.
- 라우터 또는 서버를 이용해 설정이 가능합니다.
- 같은 네트워크 안에 있는 PC에 IP주소와 Gateway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합니다.
- DHCP를 통한 연결의 수행과정
1. DHCP 서버발견
2. DHCP 서버제공
3. DHCP 서버요청
4. DHCP ACK
SYSLOG
- 라우터에서 발생하는 *로그 메세지가 기록되는 서버입니다.
더보기*로그: 컴퓨터 등에서 접속한 기록 등이 컴퓨터 내에 남아있는 것
- 로그를 정리할 때 *Facility와 *Serverity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.
더보기*Facility: 로그의 종류
*Serverity: 로그의 긴급 및 중요도
NTP
- 네트워크 장비의 시간을 동기화하는 프로토콜입니다.
- LOG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
- 라디오나 원자시계에 맞추어 시간을 조정하며 밀리초(1/1000초) 단위까지 시간을 맞출 수 있다.
- Mail을 주고 받을 수 있게 해주는 서버 기능입니다.
- [사용자 이름@도메인 이름]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.
- Email의 @은(는) 사용자 이름과 도메인 이름을 구분해주는 역할을 합니다.
'동아리 > TeamLo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TML 기초 I (0) | 2021.07.23 |
---|---|
트러블 슈팅 (0) | 2021.06.20 |
캡슐화 & 역캡슐화 (0) | 2021.06.01 |
VLAN(Native VLAN) & VTP (0) | 2021.05.30 |
스위치와 라우터 (0) | 2021.04.26 |